서점을 가보면 행복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파는 책들이 수두룩하다. '~을 하면 행복할 수 있다. ~을 해서 당신이 불안한 것이다', 대다수가 이런 형식의 자기계발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과연 책에서 하라고 한다고 우리가 행복할 수 있을까? 도대체 행복의 '기원'은 무엇일까? <행복의 기원> 저자 서은국 연세대학교 교수는 행복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사람이 왜 행복을 느끼는 가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행복을 느끼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살기 위해 행복을 느낀다. 


 <행복의 기원>에 따르면 인간은 100% 동물이다. 위급한 상황에서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우리의 동물적 본능이지 이성이 아니다. 우린 동물인데 왜 행복을 느끼는 것일까? 저자는 다윈의 진화론을 주장의 근거로 삼는다. 동물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생존'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의 생각과 행위는 생존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런 생존을 위한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그 행위에 따른 '행복'이 있어야 자발적으로 하게 된다. 그리고 이런 행위는 계속 반복되어야 한다. 한 번 맛있는 것을 먹고 굶어 죽진 않는다. 계속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결국 한 번 큰 쾌감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작은 쾌감을 느끼는 것이 더 행복한 것이다. 


행복과 사회적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생존을 위한 행위는 무엇이었을까? 이는 다른 사람들과 '같이 있는 것'이다. 그래야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도 있고, 자손 번식을 위한 이성도 만날 확률이 높아진다. 결국 인간의 뇌는 사람들과 관계를 잘 맺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되어 온 것이다. 그리고 뇌는 이런 사회적 관계를 자발적으로 유지하게끔 인간에게 '쾌락'을 보상한다. 결국 사람은 혼자 있을 때가 아니라 '사회적 관계'에 있을 때 행복한 것이다. 내향적인 사람은 그럼 뭐냐고? 내향적인 사람은 사람들을 싫어하는 것이 아니다. 사회적 스트레스에 더 예민한 사람들일 뿐이다. 그래서 사람들을 많이 만나는 것을 불편해하는 것이고. 그들도 행복을 느끼기 위해서는 어색함을 극복하고 새로운 사람들을 만날 필요가 있다. 실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익숙한 사람과 갖는 식사자리보다 어색한, 새로운 사람과의 식사자리에서 더 큰 즐거움을 느낀다고 한다. 


올바른 문화의 필요성


하지만 우린 집단주의가 팽배한 대한민국 사회에서 스트레스를 받곤 한다. 사회적 관계가 그렇게 중요하다면 왜 정작 우리는 단단한 사회적 관계의 산물인 '집단주의' 안에서 고통을 받을까? 더 행복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는 행복하기 위해서 '중요한 요소'는 맞다. 하지만 항상 '긍정적' 요소이진 않다. 이런 긍정적, 부정적을 결정하는 것은 결국 이런 관계를 둘러싼 문화이다. 과도하게 타인을 의식하는 집단주의 문화는 문화의 행복감을 낮춘다. 생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타인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일일이 파악하는 데에는 큰 기력의 소비가 있다. 서로의 가치를 존중하는 그런 '함께 사는' 문화가 사회적 관계가 큰 행복을 만들어 낼 수 있게끔 하는데 필수적이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문유석 판사의 <개인주의자 선언>이랑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주의자 선언>에서는 합리적 개인들로 이루어진, 서로를 존중해주는 그런 사회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행복의 기원> 역시 사회적 관계에서 행복을 이끌어내려면 서로를 존중해주는 그런 문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집단주의에 갇혀 상대의 가치를 내 잣대로 판단하고, 남의 시선을 의식하여 자신의 색깔을 잃어버리기 일쑤인 대한민국. 이젠 변화가 필요한 시기이다.  

'취미 생활 > 책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만과 편견>-제인 오스틴  (2) 2017.02.09
<1984>-조지 오웰  (0) 2017.02.04
<개인주의자 선언>-문유석  (0) 2017.02.01
<THAAD>-김진명  (0) 2017.01.31
<걷기, 두 발로 사유하는 철학>-프레데리크 그로  (0) 2017.01.30

+ Recent posts